[국감핫이슈]환노위, ‘집단돌연사’ 논란 한국타이어 공장시찰
기산협
0
4905
2008.10.14 08:06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13일 지난 2006년 5월 이후 14명의 직원 ‘집단돌연사’로 논란이 됐던 한국타이어 대전지사를 방문 실사했다.
환노위 소속 의원들은 이날 공장시찰 이후 잡혀있던 대전지방노동청 국정감사 일정을 지연시킬 만큼 이 문제에 큰 관심을 보였다.
민주당 김재윤 의원은 이 자리에서 “한 직장에서 매년 8명씩 사망한다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며 “올해도 사원들에 대한 건강검진 결과 무려 1800명에 대해 재검진 통보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책을 철저히 마련하라”고 지적했다.
민주노동당 홍희덕 의원도 공장시찰에 앞서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타이어는 지난해 역학조사가 진행중이던 11월 7일 기존 사용하던 솔벤트 통을 교체할 것을 지시하는 이메일을 작업장에 보냈다”며 “직원들은 작업을 할 때 어떤 물질을 사용하는지도 몰랐다. 사실상 역학조사를 앞두고 사측이 유해물질표시가 된 통으로 교체했다”고 밝혔다.
홍 의원에 따르면 한국타이어측은 “금일부터 검사라인에서 사용하는 솔벤트통을 부착한 통으로 사용하도록 각 조별 교육을 실시하라”면서 “그 이전의 통은 절대로 사용을 금지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허기열 한국타이어 사장은 “사회적 물의로 인해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 드려 송구스럽다”며 “유명을 달리한 사원 여러분의 명복을 빌며 유족들에게도 미안한 마음뿐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환경과 안전 보건 분야에 대한 혁신의지를 갖고 개선하겠다”며 “더 이상 불미스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타이어측은 집단돌연사와 관련 추가 역학조사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와 관련 이호건 상무는 “일부 언론에서 제기한 ‘추가 역학조사 거부’는 ‘추가 역학조사’라는 단어 자체가 기업에 끼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라며 “산업안전공단에서 지적한 부분은 이미 회사내부에서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타이어는 직원들의 ‘집단돌연사’ 논란이 불거진 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으로부터 지난해 10월부터 5개월간 조사를 받았으나 “작업환경과 돌연사와의 직접적인 인관관계를 밝혀내지는 못했다. 다만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판정을 받은 바 있다.
대전지방노동청 국감에서도 한국타이어 ‘집단돌연사’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민주당 김재윤 의원은 “한국타이어 근로자 집단사망 사건 이후에도 대전지방노동청은 노사자율로 해결할 사항이라며 특별근로감독을 미뤄왔다”며 “한국타이어는 2003년 2004년 재해발생 사업장임에도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이냐”고 질타했다.
한편 한국타이어 유족대책위는 이날 대전지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타이어 근로자 집단사망 사건은 한국타이어의 위법과 노동청의 소홀한 근로감독이 빚어낸 것”이라며 “국정감사를 철저히 하라”고 촉구했다.
환노위 소속 의원들은 이날 공장시찰 이후 잡혀있던 대전지방노동청 국정감사 일정을 지연시킬 만큼 이 문제에 큰 관심을 보였다.
민주당 김재윤 의원은 이 자리에서 “한 직장에서 매년 8명씩 사망한다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며 “올해도 사원들에 대한 건강검진 결과 무려 1800명에 대해 재검진 통보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에 대한 대책을 철저히 마련하라”고 지적했다.
민주노동당 홍희덕 의원도 공장시찰에 앞서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타이어는 지난해 역학조사가 진행중이던 11월 7일 기존 사용하던 솔벤트 통을 교체할 것을 지시하는 이메일을 작업장에 보냈다”며 “직원들은 작업을 할 때 어떤 물질을 사용하는지도 몰랐다. 사실상 역학조사를 앞두고 사측이 유해물질표시가 된 통으로 교체했다”고 밝혔다.
홍 의원에 따르면 한국타이어측은 “금일부터 검사라인에서 사용하는 솔벤트통을 부착한 통으로 사용하도록 각 조별 교육을 실시하라”면서 “그 이전의 통은 절대로 사용을 금지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허기열 한국타이어 사장은 “사회적 물의로 인해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 드려 송구스럽다”며 “유명을 달리한 사원 여러분의 명복을 빌며 유족들에게도 미안한 마음뿐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환경과 안전 보건 분야에 대한 혁신의지를 갖고 개선하겠다”며 “더 이상 불미스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한국타이어측은 집단돌연사와 관련 추가 역학조사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와 관련 이호건 상무는 “일부 언론에서 제기한 ‘추가 역학조사 거부’는 ‘추가 역학조사’라는 단어 자체가 기업에 끼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라며 “산업안전공단에서 지적한 부분은 이미 회사내부에서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타이어는 직원들의 ‘집단돌연사’ 논란이 불거진 뒤 산업안전보건연구원으로부터 지난해 10월부터 5개월간 조사를 받았으나 “작업환경과 돌연사와의 직접적인 인관관계를 밝혀내지는 못했다. 다만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판정을 받은 바 있다.
대전지방노동청 국감에서도 한국타이어 ‘집단돌연사’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민주당 김재윤 의원은 “한국타이어 근로자 집단사망 사건 이후에도 대전지방노동청은 노사자율로 해결할 사항이라며 특별근로감독을 미뤄왔다”며 “한국타이어는 2003년 2004년 재해발생 사업장임에도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이냐”고 질타했다.
한편 한국타이어 유족대책위는 이날 대전지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타이어 근로자 집단사망 사건은 한국타이어의 위법과 노동청의 소홀한 근로감독이 빚어낸 것”이라며 “국정감사를 철저히 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