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보수작업, 보건안전 사각지대

기산협 보도자료

석유화학 보수작업, 보건안전 사각지대

기산협 0 4589

󰋮 석유화학 보수작업, 보건안전 사각지대


(노컷뉴스, 6월 28일)




 석유화학설비의 유지보수 작업, 이른바 TA(TurnAround)작업을 수행하는 건설노동자들이 산업안전보건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주장이 제기됨.


- 여수산단 입주업체 가운데 42%가 이 TA 작업 수행을 위한 기계 산업 업체들로, 38%인 석유화학 업체들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함.


- 여기다 장비 운영을 일시 중단한 채 드레이닝이나 분해정비, 필터 클리닝 등을 통해 많은 유해물질을 한꺼번에 노출받을 수 있는 위험한 작업이기도 함.


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TA 작업처럼 일급 발암물질인 벤젠 등을 단기간에 과다하게 노출받는 경우 장기간동안 적은 양을 노출받는 경우보다 조혈계 암 발생률이 큰 것으로 조사됨.


- 하지만, 현재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이 TA 작업은 임시작업이나 단시간 작업으로 분류돼 관리대상유해물질을 다루는 보호대상에서 빠져 있음.


 대구카톨릭대학교 최상준 산업보건학과 교수는 최근 여수시청에서 열린 관련 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여수산업단지 내에서 TA 작업은 업체별로 돌아가며 계속되는 연중 작업인데다 석유화학의 핵심이자 필수작업인데도 임시작업이나 단시간 작업으로 분류돼 있다"고 밝힘.


- 최 교수는 특히 TA 작업에 대한 안전보건 관리의 책임이 하도급 작업인 특성상 발주처인 석유화학업체들이 가장 크다고 강조하고, 석유화학 업체들과 전문건설인협의회, 건설 노조 등 산단내 자생적인 주체들이 이에 대한 논의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함.

,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