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반도체 사업자 암 유발 원인규명 나선다
노동부가 반도체 사업장의 산업보건 임시 점검 등 건강관리 강화 방안을 마련했다고 1일 밝혔다.
특히 지난해 역학조사에서 정확한 위험도의 평가와 원인규명 등을 위해 장기간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따라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과 산업안전보건연구원에서 올해부터 오는 2019년까지 약 10년간 장기적인 심층연구계획을 수립해 추진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지난해 역학주사로 구축된 코호트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 주기적으로 위험도를 재평가하는 것은 물론 림프조혈기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을 대상으로 반도체 제조공정 작업 환경의 분석과 평가, 비호지킨림프종과 직업적 비직업적 요인 연구를 위한 환자-대조군 연구 추진, 미국과 영국 등 유사연구를 수행중인 국가의 연구기관인 미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원, 영국산업안전보건청 등과 정보교류 등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또 노동부는 심층연구를 통한 정확한 원인의 규명에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원인규명전이라도 사업장에서 조치가 필요한 사항에 대해 사전점검하고 근로자 건강보호활동을 강화해 혹시 있을지 모르는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반도체제조업체 사업장의 보건관리 강화방안을 마련해 시행키로 했다.
우선 반도체업체가 자율적으로 산업보건 임시점검을 실시해 유해위험요인을 찾아서 개선토록 하고 사업장의 산업보건활동도 지속적으로 강화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시작으로 림프조혈기계암이 다수 발생한 삼성전자, 하이닉스, 엠코테크놀로지 등 업체에 대해 외부 전문가를 통해 위험성 평가와 보건관리 개선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방침이다.
이 외에도 백혈병과 조혈기계에 영향이 있다고 알려진 방사선, 아르신 등 유해인자에 대해 안전공단에서 정밀측정을 실시해 노출 수준에 대한 평가와 반도체 제조공정의 산업보건 매뉴얼을 개발해 체계적인 보건관리 지원등을 실시한다.
이와관련 삼성전자 등 반도체제조업체는 1일 개최된 '반도체제조업체 사업주 간담회'에서 정부의 후속연구계획과 사업장 보건관리 강화방안에 적극 참여해 반도체 업체 종사 근로자의 건강관리에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