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 느는데… MB정부, 산업안전 정책 역대 꼴찌
◆ 산재 느는데… MB정부, 산업안전 정책 역대 꼴찌
(한국일보, 6월 13일)
12일 박두용 한성대 기계시스템공학과 교수가 산업안전보건 분야 전문가 85명을 설문해 연구한 보고서 '이명박 정부의 안전정책 및 성과에 대한 전문가의 평가 및 인식도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의 36.5%가 '지난 4년간 안전정책 개발을 위해 노력하지 않았다'고 평가한 반면 '노력했다'는 응답은 절반 정도인 20%에 불과했고 '그저 그렇다'는 응답은 41.2%에 달함.
- 실제로 우리나라의 산업재해로 인한 직ㆍ간접 손실액은 지난해 18조1,270억원을 기록, 4년 전인 2007년(16조2,114억원)보다 2조원 가까이 증가했고, 우리나라 산재 사망자도 연 평균 2,500여명, 인구 1만명 당 0.96명(2011년 기준)으로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중 가장 높아, 독일(1만명 당 사망자 0.16명) 일본(0.20명)보다 다섯 배나 많은 노동자들이 안전시설 미비로 인해 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박두용 교수는 "김대중 정부는 50인 미만 사업장 작업환경 개선을 위해 '클린 3D 사업'을 시행하고 노무현 정부는 국가장기전략인 '비전 2030'에 산업재해 문제를 포함시키는 등 노력을 했다"며 "하지만 경제발전에 치중하고 있는 이 정부는 4대강 공사 현장에서 안전사고가 잇따라도 관련 자료 접근을 차단하는 등 논의 자체를 못하게 하고 있다"고 덧붙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