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직업적 벤젠 노출에 의한 조혈기 암 발생 지속 - 산재보상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98~’07) 벤젠 노출에 의한 백혈병 등 조혈기계 암 발생은 46명으로 나타났다. 산업안전공단 연구원 직업병연구센터에서는 최근 3년간 9건의 조혈기계 암에 대한 역학조사결과 과거 노출에 의한 직업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직업성 암 발생 근로자는 10~30년의 근무기간을 보여 유의한 누적 노출량과 잠복기간 을 보였다.
◎ 최근 10년간 벤젠 노출에 의한 조혈기계 암 발생 현황
년도 |
계 |
'98 |
'99 |
'00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발생(명) |
46 |
2 |
2 |
4 |
2 |
5 |
9 |
9 |
3 |
5 |
5 |
- 주요 발생 업종은 석유화학업종, 건설업, 선박건조업, 자동차 제조(정비)업, 금속제련업 등으로 다양하며, 최근의 노출은 벤젠 제조 및 저장 사업장에서 간헐적 고농도 노출과 벤젠 함유 유기용제 취급 사업장에서 장기적인 저농도 노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 벤젠 제조·취급 사업장에서는 근로자의 노출수준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작업 (노출)형태에 알맞은 평가방법과 노출근로자에 대한 특수건강진단을 실시하여야 한다. - 산업안전공단에서는 벤젠의 유통·사용 현황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벤젠 노출 근로자의 규모, 노출수준, 작업형태, 건강실태 등을 밝힐 것으로 기대된다. 조사 결과는 금년 12월경 발표될 예정이며 아울러 주요 유해·위험 공정에 대한 표준 개선방안을 포함 하게 된다.
|



|
ㅇ 하절기『밀폐 공간 질식재해 위험』경보 발령 - 여름철이 다가옴에 따라 기온이 상승하고 잦은 호우로 미생물 번식이 활발해져 맨홀이나 정화조, 저장탱크 등 밀폐 공간 작업 시 산소결핍이나 유해가스로 인한 질식사고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 산업안전공단에서는 6월 1일부터 8월31일까지『밀폐공간작업 질식재해 위험』경보를 발령 하고 산업현장에서의 질식재해예방 3대 수칙 준수를 위한 기술지원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 밀폐공간에서의 질식재해로 최근 5년간 109명이 사망하였으며 기온이 20℃ 이상인 하절기 집중적으로 발생하였다. 사망 근로자의 약 60%는 밀폐공간 안전작업에 대한 교육을 받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산업안전공단에서는‘07년 7월 경기도와 『질식재해 예방 업무협약(MOU)』을 맺고 지자체 발주 공사 담당 공무원 및 관급공사 수주업체 근로자 800여명을 대상으로 질식재해 예방 교육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안전공단 산업안전교육원에서는『밀폐공간 작업안전』에 대한 전문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어 교육원 홈페이지에서 교육을 신청하면 된다. (홈페이지: http://edu.kosha.net, 문의처: 032-5100-953, 산업보건분야 담당자)
|
|
|
| |
|
|
|
ㅇ 국내 근골격계질환자 발생 추이 분석(1998-2007) 발표 - 산업안전공단은 지난‘08.5.23~24일에 개최된 대한인간공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금오 공과대학)『우리나라의 근골격계 질환자 발생 추이 분석(1998-2007)』에 관하여 발표 하였다. - 세부내용은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승인된 지난 10년간의 근골격계 질환자 발생현황, 연도별 사업장 규모별, 업종별, 연령별, 입속 기간별, 요양 기간별, 질병 원인별, 유발 행위별 발생 추이를 포함하고 있으며, 또한 최근 급증하고 있는 사고성 요통과 기존의 신체부담작업 및 작업관련성 요통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과의 발생 경향에 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 2007년 산업재해현황 분석결과에 의하면, 근골격계 질환자수(7,723명)는 업무상 질병 (11,472명)의 67.3%를 차지하였으며, 전체 재해자(90,147명)의 8.6%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업무상 질병으로서, 이번 발표 자료는 근골격계질환 예방 사업을 전개하고자 하는 단체나 개인에게 기초정보자료로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공단 홈페이지 (http://msd.kosha.net)를 통하여 공개할 예정이다.

|

|
ㅇ EU REACH 예비(사전) 등록, 6월 1일부터 개시 - 작년 6월 1일자로 시행된 유럽연합(EU)의 새로운 화학물질관리제도인 REACH에 의한 화학물질사전 등록이 금년 6월 1일자로 시작된다. - 사전등록은 금년12월1일까지 6개월 동안이며, EU권역으로 화학물질 또는 함유 제품을 수출하는 기업에서는 사전등록을 해야 본 등록 기간까지 유예를 받을 수 있으며, 물질 정보 공유 및 공동 등록을 통한 비용 절감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사전 등록에 필요한 서류는 물질 기본정보(조성, 분자구조, 분자량, 순도 등), 등록 예정자 및 담당자 정보, 물질량(톤수)이며 EU 권역내의 수입자 또는 대리인을 통해서 할 수 있다.
|
|
|
| |
|
|
|
ㅇ 영국 안전보건청(HSE), 제조업 분야의 재해 및 질병 예방활동 집중 전개 - 영국 안전보건청(HSE)에서는 안전보건 활성화(RHS) 전략에 따라 산업 재해 및 질병 발생률이 높은 제조업 전반에 대한 산업재해 및 직업성 질병 예방활동을 펼쳐왔으며, 2010년까지 사망 및 중상 재해의 10% 감소를 위해 집중 예방 활동을 실시한다. - Fit 3(Fit for Work, Fit for Life, Fit for Tomorrow) 프로그램을 전략적으로 추진하며, 상해, 질병 및 근로 손실일 감소를 목적으로 공공 및 민간 분야가 모두 참여하고 있다. - HSE와 근로연금부(DWP,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간의 공공 서비스 협정 (PSA) 목표인 사업장 위험 관리의 향상, 재해와 질병 및 손실일수 감소 등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 공공서비스협정(PSA)의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사망재해 발생률 3% 감소 및 직업성 질병 발병률 6% 감소 · 상해 및 질병으로 인한 근로자 10만명당 근로 손실일수 9% 감소 · 2001/02를 기준으로 국내 보고대상 재해발생건수 15% 감소 등 - 집중적인 재해예방 활동을 전개하는 주요 산업 분야는 시멘트, 세라믹, 콘크리트 제조, 주조업, 유리제조, 유리공사, 제지업, 채석업, 고무제조, 조선, 폐기물 처리업이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