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근로자 평균연령 40세 `고령화 가속

기산협 보도자료

2010년 근로자 평균연령 40세 `고령화 가속

기산협 0 5049
인구 고령화 추세로 5년뒤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 연령이 40세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3일 `기업내 근로자 고령화 현황과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연령은 지난 80년에 28.8세였으나 지난해에는 이보다 8.7세 증가한 37.5세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근로자의 평균연령이 현재와 같은 속도로 증가한다면 근로자 평균연령은 2010년 40.2세, 2020년에는 43.9세가 될 것으로 경총은 추정했다.

이러한 고령화 추세로 인해 우리나라 핵심근로자 계층이 20대 이하에서 40대 이상으로 전환된 것으로 분석됐다. 80년대의 경우 20대 이하 근로자 비중이 60.6%였으나 지난해에는 27.5%로 절반 이하로 줄어든 반면, 40대 이상 비중은 80년 15.7%에서 지난해 39.5%로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 근로자평균연령을 살펴보면 중소기업(300인 미만)은 80년 29.8세에서 지난해 37.8세로 8세 증가했다. 대기업의 경우 80년 27.5세에서 지난해 36.5세로 9세 증가해 대기업이 중소기업보다 고령화 진행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분석됐다.

직종별로는 80년을 기준으로 생산직 근로자는 평균연령 27.1세을 기록해 사무직 28.8세, 판매서비스직 35.7세에 비해 1~9세 정도 젊었다.

그러나 지난해 생산직 평균연령은 41세로 80년에 비해 무려 13.9세 증가했고 사무직 32.8세, 판매서비스직 36.1세에 비해서도 5~8세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생산직 근로자의 고령화 추세가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우리나라는 근로자의 고령화 진행속도가 일본에 비해 훨씬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2003년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연령은 28.8세에서 37.1세로 증가율 28.2%를 기록했다. 반면 일본은 36.8세에서 40.3세로 9.5% 증가에 그쳤다.

이같은 근로자 고령화로 인해 기업은 근로자의 요구 증대로 부담이 증가하고 기술 습득 능력 부진과 생산성 저하, 청년계층의 노동시장 진입 장애, 노동시장 양극화 심화, 인사적체 심화 등의 부작용이 초래되고 있다고 경총은 지적했다.

경총 관계자는 "임금, 고용 등 노동시장의 유연성이 부족하고 경력직 위주의 채용관행이 확산되면서 노동연령이 높아지고 있다"며 "고학력화로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시기가 늦어지고 있는 것도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고령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직무급 또는 성과급 임금체계를 도입하는 한편 산업수요에 부응하는 교육체계 확립, 인위적 정년연장보다는 고령자 수요기반 확충, 전직지원의 활성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