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특수건강검진 고발, 검진 거부"
기산협
0
4660
2007.03.12 07:45
지난해 노동부가 특수건강진단기관들이 무자격자를 고용해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검사방법을 무시해 행정처분을 내린 것과 관련, 노동단체들이 검진거부와 해당 기관 고발에 나섰다.
민주노총 광주전남본부는 9일 오전 광주지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업주와 특검기관 간의 유착관계를 정밀 재조사하고 특검제도개선 대책기구를 구성, 개선방안을 제시하라고 요구했다.
광주전남본부는 노동부가 개선방안을 내놓지 않을 때에는 특수건강검진을 전면 거부하는 것을 포함해 특검기관에 대해 고발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특수건진기관들이) 검진의 결과를 해석하는데 있어 사업주의 눈치를 보면서 직업병 유소견자를 일반질병 유소견자로 둔갑시키는 등 기관의 양심을 팔아 영업행위를 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며 "그러나 이렇게 심각한 결과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특검기관의 지정취소가 3곳 밖에 없었다는 것은 노동부가 솜방이식 처분을 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문제를 지적했다.
이에 앞서 민주노총도 지난 6일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부가 사업주와 특검기관간의 유착관계를 의심할 수 있는 사례들에 대해 정밀조사를 실시해 강력하게 처벌하고 재발 방지대책의 즉각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또한 "특검기관들은 그동안의 잘못을 진심으로 반성하고 스스로 개선하려는 대책을 제시함으로써 노동자들의 불신을 극복하겠다는 결의를 밝히라"며 "노동부는 노동계를 중심으로 특검제도개선 대책기구를 구성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민주노총 광주전남본부는 9일 오전 광주지방노동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업주와 특검기관 간의 유착관계를 정밀 재조사하고 특검제도개선 대책기구를 구성, 개선방안을 제시하라고 요구했다.
광주전남본부는 노동부가 개선방안을 내놓지 않을 때에는 특수건강검진을 전면 거부하는 것을 포함해 특검기관에 대해 고발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특수건진기관들이) 검진의 결과를 해석하는데 있어 사업주의 눈치를 보면서 직업병 유소견자를 일반질병 유소견자로 둔갑시키는 등 기관의 양심을 팔아 영업행위를 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며 "그러나 이렇게 심각한 결과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특검기관의 지정취소가 3곳 밖에 없었다는 것은 노동부가 솜방이식 처분을 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문제를 지적했다.
이에 앞서 민주노총도 지난 6일 기자회견을 열고, "노동부가 사업주와 특검기관간의 유착관계를 의심할 수 있는 사례들에 대해 정밀조사를 실시해 강력하게 처벌하고 재발 방지대책의 즉각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또한 "특검기관들은 그동안의 잘못을 진심으로 반성하고 스스로 개선하려는 대책을 제시함으로써 노동자들의 불신을 극복하겠다는 결의를 밝히라"며 "노동부는 노동계를 중심으로 특검제도개선 대책기구를 구성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